2024.04.28 (일)

  • 구름조금속초15.5℃
  • 구름많음19.8℃
  • 구름많음철원22.1℃
  • 구름많음동두천21.1℃
  • 구름많음파주20.2℃
  • 구름많음대관령17.0℃
  • 구름많음춘천19.9℃
  • 구름많음백령도15.7℃
  • 구름조금북강릉16.5℃
  • 구름많음강릉17.2℃
  • 구름많음동해18.7℃
  • 구름많음서울20.7℃
  • 구름많음인천17.4℃
  • 구름많음원주20.1℃
  • 맑음울릉도18.9℃
  • 구름많음수원20.3℃
  • 구름조금영월20.0℃
  • 구름조금충주19.5℃
  • 구름조금서산20.7℃
  • 구름많음울진20.2℃
  • 구름많음청주19.1℃
  • 구름조금대전19.1℃
  • 구름많음추풍령21.0℃
  • 구름많음안동20.8℃
  • 구름많음상주19.4℃
  • 구름많음포항20.7℃
  • 구름많음군산18.6℃
  • 구름많음대구21.3℃
  • 구름많음전주21.5℃
  • 연무울산20.8℃
  • 구름많음창원22.0℃
  • 구름많음광주20.6℃
  • 흐림부산20.8℃
  • 흐림통영19.4℃
  • 구름많음목포19.1℃
  • 구름조금여수19.1℃
  • 구름많음흑산도18.1℃
  • 흐림완도20.7℃
  • 구름조금고창20.2℃
  • 구름많음순천21.9℃
  • 구름많음홍성(예)18.3℃
  • 구름많음17.7℃
  • 흐림제주20.3℃
  • 구름많음고산20.8℃
  • 흐림성산21.0℃
  • 구름많음서귀포21.7℃
  • 구름많음진주21.2℃
  • 구름많음강화18.5℃
  • 구름많음양평19.5℃
  • 구름많음이천19.5℃
  • 구름많음인제19.8℃
  • 구름많음홍천19.1℃
  • 구름조금태백24.4℃
  • 구름조금정선군20.7℃
  • 구름조금제천20.5℃
  • 구름많음보은17.8℃
  • 구름많음천안19.7℃
  • 구름많음보령20.4℃
  • 구름많음부여18.9℃
  • 구름많음금산17.9℃
  • 구름많음18.4℃
  • 구름조금부안19.6℃
  • 구름조금임실21.3℃
  • 구름많음정읍22.0℃
  • 구름많음남원19.7℃
  • 구름조금장수22.2℃
  • 구름조금고창군22.0℃
  • 구름조금영광군20.5℃
  • 흐림김해시20.8℃
  • 구름조금순창군20.5℃
  • 구름많음북창원22.0℃
  • 구름많음양산시22.4℃
  • 구름많음보성군21.3℃
  • 구름많음강진군21.2℃
  • 구름많음장흥21.7℃
  • 구름많음해남23.3℃
  • 구름많음고흥21.3℃
  • 구름많음의령군21.0℃
  • 구름많음함양군19.9℃
  • 구름많음광양시20.8℃
  • 구름많음진도군21.4℃
  • 구름많음봉화21.3℃
  • 구름많음영주20.9℃
  • 구름많음문경20.1℃
  • 구름많음청송군20.9℃
  • 흐림영덕18.8℃
  • 구름많음의성20.4℃
  • 구름많음구미20.8℃
  • 흐림영천20.4℃
  • 구름많음경주시22.3℃
  • 구름많음거창19.4℃
  • 구름많음합천20.7℃
  • 구름많음밀양20.5℃
  • 구름많음산청19.5℃
  • 흐림거제19.7℃
  • 구름많음남해20.4℃
  • 흐림21.7℃

한자는 내친구

전체기사 보기

고사성어-邯鄲之夢(한단지몽)

(풀이)-한단에서 꾼 꿈.인생의 부귀 영화가 뜬구름 처럼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고사성어-邯鄲之夢(한단지몽)

https://youtu.be/ne02X8Xsme8(동영상시청) 邯:나라이름 한/ 鄲:조나라 서울 단/ 之:어조사 지/夢:꿈몽 (풀이)-한단에서 꾼 꿈.인생의 부귀 영화가 뜬구름 처럼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유래)-한단지몽(邯鄲之夢)은 인생의 부귀영화가뜬구름 처럼 덧없음을비유적으로이르는말이다.심기제(沈旣濟)의침중기(枕中記)에 수록 되어 있는데,노생(盧生)이한단(邯鄲)땅에서여옹(呂翁)의베개를빌려서잠이 들며80년간의영화로운꿈을꾸었는데,깨고보니주모가노란 기장밥을짓는사이였다는고사에서유래한말이다. 당나라 현종(玄宗)때 도사(道士)여옹(呂翁)은 한단(邯鄲)으로 가는 도중 잠시 주막에 머물러 쉬는 중에 허름한 옷차림의 노생(盧生)이라는 젊은이를 만났다.그는 산동(山東)에살고 있었는데,아무리노력을 해도 가난을 면치 못한다며 신세 한탄을 하고는 꾸벅꾸벅 졸기 시작했다.여옹은양쪽에 구멍이 뚫려 있는 자신의 도자기 베개를 빌려 주자 노생은 그것을 베고 잠이 들었다.노생이 꿈속에서 점점 커지는 베개 구멍 속으로 들어가보니,대궐같은 집이 있었다. 노생은 명문가인 최씨 집안의 딸과 결혼하고 과거에 급제한 뒤 관리가 되어 후일 재상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그 후10년간 명재상으로 명성이 높았으나,어느 날 갑자기 터무니 없는 모함을 받아 역적으로 몰려 잡혀가게 되었다. 포박을 당한 채 끌려가던 노생은“옛날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살던 때를 그리워하며 말했다.”내고향산동에서 가난하지만 농사나 짓고 살았으면이런억울한누명은쓰지않았을텐데,무슨 부귀영화를누릴려고관직에나갔던가.그옛날누더기를입고한단의거리를거닐던때가그립구나!”라고말하며자결하려했다.하지만아내의만류로뜻을이루지못했다. 그는변방으로귀양을 갔다가수년후억울하게 누명 쓴 것이밝혀져다시재상의자리에오르게되었다.그후노생의 다섯 아들들은모두고관이되었고열명의손자들과 함께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다가점차 건강이 쇠약 해 져서80세의나이로생을마쳤다.이윽고노생이기지개를켜며깨어보니한낱꿈이었다. 옆에서노생을 바라보던여옹이웃으면서“인생은 다 그런 거지 부질없는 것 이라네"주막집주인은그때까지 기장밥을짓고있었는데,아직뜸이들지않았을정도의짧은동안의꿈이었다.묵묵히 생각에 잠긴 노생은 한바탕 꿈으로 온갖 부귀영화와 죽음까지도 모두 겪게 해서 부질없는 욕망을 막아준여옹의가르침에공손히 절을하고 한단을 떠났다.이렇게덧없는일생을비유한것을한단지몽이라한다.

고사성어-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풀이)동쪽집에서 먹고 서쪽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본래는 욕심이 지나친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였으나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곳저곳을 떠도는 삶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사성어-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https://youtu.be/L8MM-Acu8Q4(동영상 시청) 東:동녘 동 家:집 가 食:먹을 식 西:서녘 서 家:집 가 宿:짐잘 숙 (풀이)동쪽집에서 먹고 서쪽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본래는 욕심이 지나친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였으나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곳저곳을 떠도는 삶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래)-중국의 齊(제)나라어느 마을에 혼기가 꽉 찬 처녀가 있었는데,공교롭게도 동쪽 마을과 서쪽 마을 두 집안에서 한꺼번에 청혼이 들어왔다.그런데 동쪽 마을의 젊은이는 인물은보잘것없었지만 아주 부유한 집안의 자제였고,서쪽 마을의 젊은이는훤칠하게잘생기기는 했지만 집안은 무척 가난했다.처녀의 부모는 이 두사윗감가운데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난처한 나머지딸의 의견을 직접들어보기로했다. “보다시피 한쪽은 재산이 많은 반면 신랑감이시원찮고,다른 쪽은 인물은 출중하지만 사는 게 형편 없어 네가 시집 가면 생활이힘들텐데아무리 생각해도 쉽게 결정하지 못하겠으니,당사자인 네가 선택해야 할 것 같구나.어느 쪽 으로 시집을 가겠느냐?” 아버지의 물음에 처녀는 잠시 머뭇거리자 어머니가 말했다.“만일 동쪽 집에 시집 가고 싶으면 왼쪽 어깨의 옷깃을 내리고,서쪽 집에 시집 가고 싶으면 오른쪽 어깨의 옷깃을 내리도록 하거라.” 그러자,처녀는 잠시 망설이더니 갑자기 양쪽 어깨의 옷을 다 내리는 것이 아닌가.딸의 행동에 놀란부모가 그 까닭을 묻자,처녀는 이렇게 대답하는 것이었다. “낮에는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밤에는 서쪽 집에서 자고싶어서요”이렇듯 원래 이 말은 욕심이 지나친 경우를 나타낼 때 쓰이는 말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이 생활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고사성어-老馬之智(노마지지)

(풀이)-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으로 하찮은 사람도 각자 그 나름의 장기나 슬기를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고사성어-老馬之智(노마지지)

https://youtu.be/tSVVy16zglc(동영상 시청) 老:늙을 로/ 馬:말 마/ 之:어조사 지/ 智:지혜 지 (풀이)-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으로 하찮은 사람도 각자 그 나름의 장기나 슬기를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유래)-춘추 오패(五覇)중의 한 사람인 제나라환공(桓公)은 어느 해 봄에 재상 관중(管仲)과 대부습붕(隰朋)을 대동하고 군사를 이끌어고죽국(孤竹國)정벌에 나섰다.봄에 시작된 전쟁이 예상 외로 길어져 그 해겨울에야겨우 끝이 났다.겨울 혹한 속에 지름길을 찾아 귀국을 하던 도중 그만 길을 잃고말았다 군사들은 물론환공마저도 당황했다.그때관중은 늙은 말 한 마리를 자유롭게 풀어 놓으며“늙은 말의 지혜가 가히쓸만하다”라고 말을 했다.말은 오랜 경험에 입각한 후각과 본능에 의지하여 걸어가기 시작했고관중은 군사들로 하여금 그 뒤를 따르게 했다.그러자 얼마 안 가서 큰 길을 만날 수 있었다. 이렇게 행군을 계속한 일행은 어느 크고 험한 산을 넘게 되었는데,이번에는 식수가 떨어져 군사들이 심한 갈증에 고통 받았다. 환공이어두운 얼굴로 걱정하자,습붕이나섰다. “개미는 여름이면 산 북쪽에 집을 짓고 살다가 겨울이 되면 남쪽의 양지바른 곳에 살 집을 짓지요.그런데,모든 동식물이 다 수분을 섭취해야 살아갈 수 있듯이개미도 마찬가지 입니다.그는 군사들로 하여금 개미집을 찾도록 했고,개미집이 눈에 띄자 일곱 자쯤파내려가니과연 샘물이 솟아났다이윽고 군사들은 목을 축일 수 있었다. 이 이야기에한비자(韓非子)의 「세림상」 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관중의 총명과습붕의지혜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그러나 그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고사성어-風樹之嘆(풍수지탄)

(풀이)-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고사성어-風樹之嘆(풍수지탄)

https://youtu.be/RouNFU9w8_0(동영상 시청) 風:바람 풍/樹:나무 수/之:어조사 지/嘆:탄식할 탄 (풀이)-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한시외전에 수록이 되어 있는 이야기다.공자가 자기 뜻을 펴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다니던 시절,고어라는 사람이낫을 들고 베옷을입은 채몹시 슬프게우는모습을보게 되었다.공자는“당신은 상을 당한 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슬피 우는가”하고 그 까닭을 물어보니 다음과 같이 답했다. "저에게는 세 가지허물이 있습니다.첫째는 젊어서 학문에 전념 하고 제후들과 사귀느라 부모님을 뒤로 한 것입니다 고향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이 이미 세상을 뜬 것이 첫번째 허물이요,둘째는 저의 뜻이 고결하다 하여 군주를 섬김에소흘하였으니두번째 허물이요 셋째는 서로신의가 두터운친구와 사이가 멀어진 것입니다."하고는 다음과 같이 말을 이었다. "나무는멈춰있고자하나 바람이 그치질 않고(樹欲靜而風不止),자식이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습니다.(子欲養而親不待)“흘러가면 다시 쫓아 갈수 없는 것이 세월입니다.가면 다시볼수없는 것이부모님이다. 제가청하건데이 말을 따르십시오 그 말을 남김 후에 핏기도 없이 죽었다.공자가 말하기를“제자들아이 말을 기록할 만하다”.이에 제자들 중에 돌아가서 부모님을 봉양하기를 청하는 자가13명이나 되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